BlueHarmel
BlueHarmel Devlog
BlueHarmel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330)
    • Book (11)
    • Dev (29)
      • ArtCon (0)
      • ESTsoft 오르미 (29)
    • Study (290)
      • Web (18)
      • AWS (2)
      • 알고리즘 (1)
      • GameDev (1)
      • 정보처리기사 (201)
      • English (1)
      • Mathematics (24)
      • 머신러닝 (7)
      • 딥러닝 (10)
      • 네트워크 보안 (5)
      • R (4)
      • 컴퓨터 네트워크 (6)
      • 데이터베이스 (8)
      • 데이터 통신 (0)
      • 운영체제 (2)
      • TIL (0)
    • Project (0)
      • 개인 (0)
      • 단체 (0)

인기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BlueHarmel

BlueHarmel Devlog

데이터베이스 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구성
Study/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구성

2023. 10. 15. 15:36

1.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의 발전 배경

파일 중심 데이터 처리 시스템(file system)

- OS가 지원

- 각 응용 프로그램이 논리적 파일 구조를 정의하고 직접 물리적 파일 구조로 구현

- 각 응용 프로그램이 물리적 데이터 구조에 대한 접근 방법을 구현

- 각 사용자가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모두 관리 유지

- 응용 간의 데이터 공용이 불가능

- 데이터의 종속성과 중복성을 야기

 

데이터의 종속성과 중복성

1. 데이터 종속성

-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간의 상호 의존관계

- 데이터의 구성 방법이나 접근 방법의 변경시 관련 응용 프로그램도 동시에 변경해야 됨

- 응용 프로그램 관리가 곤란

2. 데이터 중복성

- 한 시스템 내에 같은 내용의 데이터가 여러 파일에 중복 저장되어 관리

- 문제점

일관성 : 데이터간에 불일치가 일어나 데이터 일관성이 없게 된다.

보안성 : 같은 데이터가 여러곳에 중복되어 저장되어 똑같은 수준의 보안을 유지하기 힘듬

경제성 : 추가적으로 필요한 저장공간에 대한 비용이 든다

무결성 : 제어가 분산되어 데이터 무결성(정확성)을 유지하기 힘들다.

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정의

DBMS란

-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사이의 중재자로서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베이스를 공용할 수 있게 관리해 주는 범용 소프트웨어 시스템

3.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필수 기능

1. 정의 기능 : 하나의 저장 구조로 여러 사용자의 요구를 지원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조직하는 기능

  - 요건

    1.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를 명세

    2. 데이터의 물리적 구조를 명세

    3. 물리적/논리적 사상(mapping)을 명세


2. 조작 기능 :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

- 체계적 데이터베이스 접근 및 조작

1. 검색

2. 갱신

3. 삽입

4. 삭제

- 데이터 언어로 표현

  - 모든 사용자에게 사용하기 쉽고 자연스러워야 한다.

  - 명확하고 완전해야 한다.

  - 효율적이어야 한다.

 

3. 제어 기능 : 데이터의 정확성과 보안성을 유지하는 기능

- 제어 기능의 요건

1. 무결성 유지 : 갱신, 삽입, 삭제 작업이 정확하게 수행되게 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해치지 않도록 제어해야한다.

2. 보안 : 정당한 사용자가 허가된 데이터만을 접근할수록 보장

3. 병행수행 제어 :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를 동시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더라도 데이터베이스의 처리 결과는 항상 정확성이 유지되도록 병행제어 기능을 가져야 한다.

4.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장단점

장점

- 데이터 중복의 최소화 : 데이터의 중복이 불가피할 때 제어된 중복 사용

- 데이터의 공용

- 일관성 유지 : 한 사실을 나타내는 두개의 데이터가 있을때, 하나의 데이터만 변경되고 나머지는 변경되지 않으면 모순성을 가진다. 데이터의 중복을 제어하고 통제를 통해 일관성을 유지

- 무결성 유지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값과 그것이 표현하는 현실세계의 실제 값이 일치하는 정확성

- 보안 보장

- 표준화 용이

- 기관 전체 데이터 요구의 조정 : 상충되는 데이터 요구를 분석해 기관 전체에 가장 효율적인 정보처리 효과 제공

 

단점

- 운영비의 증대 : 컴퓨팅 자원 사용

-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복잡화 :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들이 서로 연관되어있고, 제한조건을 고려해야 한다.

- 복잡한 백업과 회복 : 구조가 복잡하고 여러사용자 동시 이용

- 시스템의 취약성 : 장애 발생시 전체 시스템을 정지시킴

5. 데이터 독립성

DBMS가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 :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나 물리적 구조가 변경되더라도 응용 프로그램이 영향을 받지않는 데이터 독립성을 제공하는 것

1.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 DBMS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변경시키더라도 기존 응용 프로그램들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것

- 응용 프로그램의 효율적 개발이 가능

2.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 DBMS의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의 변경이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에도 영향을 주어서는 안된다.

- 저장 장치의 효율적 개발이 가능

 

데이터 독립성 구현 기법 : 사상(mapping)

6.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역사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Study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6. SQL  (0) 2023.10.22
데이터베이스 5. 관계대수와 관계해석  (0) 2023.10.22
데이터베이스 4. 관계 데이터베이스  (0) 2023.10.16
데이터베이스 3.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0) 2023.10.15
데이터베이스 1. 데이타베이스 환경  (0) 2023.09.18
    BlueHarmel
    BlueHarmel
    Interested in Mathematics, Foreign Language, and "Programming"

    티스토리툴바